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저작권보호


미국 글로벌혁신정책센터, 2022 국제지식재산지수 주요 결과 / 이나라, 허윤형

  • 작성일2022.08.01
  • 작성자해외사업부(박미혜)
  • 조회수2350



 

I. 보고서 개요

 

2022년 2월 23미국 상공회의소(U.S. Chamber of Commerce) 산하 글로벌혁신정책센터(GIPC, Global Innovation Policy Center)는 2022 국제지식재산지수(International IP Index) 보고서 제10판을 발표하였다동 보고서는 2012년부터 매년 국가별 지식재산권 수준을 평가한 국제지식재산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보고서 부제는 ‘Compete for Tomorrow’동 보고서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우리 삶과 경제에 위협을 주는 상황에서효과적인 지식재산 제도는 국제사회의 더 나은 내일을 위한 경쟁을 위하여 계속해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차세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데 중요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동 보고서는 지식재산 제도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50개의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9개 분야를 평가하고 있으며각 지표는 1점씩 배점되어 있다. 9개 분야는 각각 분야1 ‘특허권관련 권리 및 제한은 9분야2 ‘저작권관련 권리 및 제한은 7분야3 ‘상표권관련 권리 및 제한은 4분야4 ‘디자인권관련 권리 및 제한은 2분야5 ‘영업비밀 및 정보보호는 3분야6 ‘IP자산 상업화 및 시장접근은 6분야7 ‘IP집행은 7분야8 ‘시스템 효율성은 5분야9 ‘국제조약 가입 및 비준은 7점으로 총 50점 만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 보고서는 정성적정량적 자료를 활용하여 대상 국가의 지식재산 환경을 분석 및 평가한다또한 동 보고서는 단순한 정량적 결과를 제공하는 것뿐 아니라지표별로 각 국가별 현황에 대하여 분석하고평가 결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II. 종합 점수 관련 주요 결과


 


2022년 국제지식재산지수 종합 점수 결과에 따르면가장 우수한 지식재산권 수준을 가지고 있는 국가는 미국이 1(95.48%)를 차지하였고영국독일스웨덴프랑스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번 제10판에서는 가나와 온두라스가 추가된바총 55개국을 대상으로 평가가 이루어졌다작년 결과인 제9판의 점수와 비교하였을 때, 53개국 중 45개국의 종합 점수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를 고려해보면평가대상국들의 지식재산권 환경이 전반적으로 나아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1위부터 우리나라가 차지한 12위까지의 순위를 살펴보면 상기 [표 2]와 같으며미국이 여전히 1위를 차지하고 있다작년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우리나라보다 높은 상위 11개국의 순위의 경우 스웨덴이 6위에서 4위로 상승하고프랑스와 일본이 1위씩 내려간 것 외에는 큰 순위 변동은 없었다스웨덴의 경우분야7의 ‘IP집행’ 중 지표32 ‘위조품 비율의 점수와 분야9 ‘국제조약 가입 및 비준’ 중 지표48 ‘유럽 사이버범죄 방지 협약(Convention on Cybercrime)’의 점수 향상으로 이뤄졌다특히분야9의 지표48이 1점을 얻으며스웨덴의 분야점수는 7점 만점을 획득하였다.

우리나라는 종합 점수 50점 만점 중 41.97점을 얻어 55개국 중 12(83.94%)를 차지했는데작년(83.73%)보다 상승하였으며 순위는 작년과 동일하다(2021년 제9판 기준한국 12). 이는스웨덴과 동일하게 분야7의 ‘IP집행’ 중 지표32 ‘위조품 비율의 점수 상승으로 이뤄졌다또한우리나라의 종합 점수는 국제지식재산지수 상위 10개국 평균(90.91%)보다는 낮지만아시아 평균(55.82%)과 하위 10개국 평균(29.39%)보다는 높다. ([그림1] 참고)


 

 

세부 분야별 점수를 살펴보면분야1 ‘특허권관련 권리 및 제한분야3 ‘상표권관련 권리 및 제한분야8 ‘시스템 효율성에서는 우리나라가 상위 10개국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한 반면분야2 ‘저작권관련 권리 및 제한분야4 ‘디자인권관련 권리 및 제한’, 분야7 ‘IP집행은 상위 10개국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또한분야5 ‘영업비밀 및 정보보호분야6 ‘IP자산 사업화 및 시장접근분야9 ‘국제조약 가입 및 비중 상위 평균보다 낮지만 아시아 평균보다는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분야‘IP자산 상업화 및 시장접근의 경우 다른 분야들과 달리 아시아 평균과 유사하다는 점에서눈에 띈다.([그림2] 참고)

 


 

한편동 보고서에서 도출한 우리나라의 지식재산환경 약점에는 특허법 조약 및 사이버 범죄협약에 가입하지 않았다는 점시장접근에 있어서 외국 지식재산권자를 차별하는 일부 장벽어려운 라이선스 등록 조건 등이 있었다.

 

III. 저작권 지표 관련 주요 결과

 

동 보고서가 조사한 55개국의 저작권 분야 평균 점수는 9개 분야 중 8번째(49.57%)를 기록하였다더불어총 55개의 국가 중 저작권 분야 점수가 50%에 도달하지 못한 국가가 34개국인 것을 고려해보면저작권 분야는 상대적으로 국가별 환경이 창작자와 저작권자들에게 어려운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